1. 기본 환경 설정 (Indexer/Member 공통)
- Encoding 설정 (UTF-8 적용)
- Window → Preferences → General → Workspace
- Text file encoding을 UTF-8로 설정
- Eclipse 자동 업데이트 비활성화
- Window → Preferences → Install/Update → Automatic Updates
- 자동 업데이트 체크 해제
- Java 11 버전 확인
- Window → Preferences → Java → Compiler
- Java 11.x 버전인지 확인 (Use compliance level: 11)
- Installed JREs → Java 11이 잡혀있는지 확인
- 없으면 Add... 클릭 후 Java 11 경로 추가
- Run/Debug 버퍼 사이즈 증가
- Window → Preferences → Run/Debug
- 버퍼 사이즈를 1000000으로 설정 → Apply
2. 프로젝트 생성 및 설정 (Indexer)
Eclipse 설정
- Eclipse 실행 후 필요한 View 열기
- Window → Show View → Other..
- Git Repositories, Git Staging, DataSource, Console, Servers, Terminal 창 활성화
- Git 저장소 생성
- Servers 폴더에서 → New → Git Repositories
- Create a new local repository 선택
- 프로젝트 저장 경로 설정 후 Create 클릭 → Git 저장소 생성 완료
- Dynamic Web Project 생성
- File → New → Dynamic Web Project
- 프로젝트 이름 입력 (Git 저장소와 동일하게 설정)
- Target Runtime: None
- Dynamic Web Module version: 3.1 선택 → Next
- Finish 클릭 후, Java EE Perspective 안내창이 뜨면 No 선택
- JRE System Library(Java 버전 변경)
- 프로젝트 우클릭 → Properties
- Java Compiler → Use compliance level 체크 해제 → Java 11로 변경 → Apply
- Project Facets → Java 11 선택 → Apply → Close
- MySQL Connector 라이브러리 추가
- lib 폴더에 mysql-connector-java-5.1.49.jar 파일 복사 & 붙여넣기
- Tomcat 서버 설정
- Servers 탭에서 기존 VMware 서버 삭제
- New Server → Apache → Tomcat 8.5 선택
- JRE: Java 11
- Tomcat 설치 경로 선택 후 Finish
- Build Path 설정
- 프로젝트 우클릭 → Build Path → Configure Build Path
- Libraries 탭 → Add Library → Server Runtime 선택 → Next
- Apache Tomcat 8.5 선택 후 Finish
- Add Jars → lib 폴더에서 mysql-connector-java-5.1.49.jar 추가 → Apply
- web.xml 설정
- 프로젝트 우클릭 → Java EE Tools → Generate Deployment Descriptor Stub 클릭 (web.xml 생성)
- Source에서 태그 삭제
- http:// → https://로 변경
- JSP 파일 생성
- webapp 폴더에 index.jsp 파일 생성
- JSP 파일에 빨간 줄 (<%@ 부분) 표시되면 빌드 패스 문제 해결 필요
- 서버 가동 및 테스트
- 서버 실행 (Run on Server) → Add and Remove에서 프로젝트 추가 후 서버 재가동
- 웹 브라우저에서 JSP 페이지 정상 동작 확인
3. Git 연동 및 Push (Indexer)
Git 원격 저장소 설정
- Git Remote 설정
- Git Repositories → Remotes → Create Remote
- Name: origin (기본값 그대로 사용)
- Create → Change → 원격 저장소 URL 입력 → Finish
- Branch 설정
- Add.. 클릭 → main 브랜치 선택 (실무에 따라 서브 브랜치 사용 가능)
- Git에서 main이 기본 브랜치가 아니라면:
- View all branches → New Branch → 새 브랜치 생성 가능
- View all branches → Default branch를 main에서 서브 브랜치로 변경 가능
- Git Fetch 및 업데이트
- Force update 체크 → OK → Save
- Fetch → Config Fetch → Change에서 URI가 올바르게 설정되었는지 확인
- Add.. 클릭 → main 또는 필요한 브랜치 선택 후 Next (체크 안 함)→ Finish → Save
- Git Staging 및 Commit
- Git Staging 창에서 ++ 버튼 클릭 → 변경 사항 스테이징
- Commit 메시지 입력 (예: 서버 세팅 완료)
- Commit and Push → Push 완료 후 OK 사인 확인 → Close
- Git Repositories 새로고침 → 업데이트 확인
4. 팀원(Git Member) 프로젝트 세팅
Git에서 프로젝트 Import
- Git 프로젝트 가져오기
- File → Import → Git 검색 → Projects from Git 선택 → Next
- Clone URI → 원격 저장소 주소 입력 후 Next
- Repository 정보 확인 (브랜치 main, serve 등 확인)
- 프로젝트 저장 경로 설정 후 Next
- origin 그대로 두고 Next
- Working Tree가 정상적으로 보이면 Next → Finish
- Tomcat 서버 설정
- Servers에서 기존 vmware 제거
- New Server → Apache Tomcat 8.5 추가
- JRE: Java 11
- 프로젝트 추가 (왼쪽 → 오른쪽 이동) 후 Finish
- 빌드 패스 문제 해결
- 프로젝트에 X 표시(오류)가 있으면:
- Build Path 설정 확인 (디렉토리 체크하고)→ Apply
- 프로젝트에 X 표시(오류)가 있으면:
- 서버 가동 및 테스트
- 서버 실행 (Run on Server)
- Indexer가 생성한 JSP 웹 페이지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
- Git Repositories에서 push config → add → 브랜치 선택 → force update 체크 → save
- fetch config도 똑같이 적용
- Git Push 및 Pull (Member)
- Git Staging에서 코드 수정 후 Commit
- Git Staging → 수정된 JSP 파일 선택 → + 클릭하여 스테이징
- Commit 메시지 입력 (예: 소스 수정 완료)
- Push and Commit 클릭
- Git Fetch 및 Pull
- Git Repositories → Fetch from origin
- Remote tracking에서 업데이트된 코드 확인
- 오른쪽 클릭 → Comparing Working Tree → 수정 전/후 코드 비교 가능
- 최신 코드 다운로드 (Pull)
- 디렉토리 우클릭 → Pull... → 브랜치 선택 → Finish
- pull 눌렀을 때 에러 나면 local → branch → branch configuration → remote: origin branch
설계에 맞게 잡기
[명령어]
버전확인
git --version
환경설정 세팅값 확인
git config --list
[Git 사용법]
push : 소스를 해당 git 서버에 업로드
pull : 서버와 PC 디렉토리를 동기화하여 다운로드
다운로드 및 파일삭제,수정이 적용
fetch : 서버에서 자신의 PC 디렉토리 저장소로 다운로드
새롭게 생성된 파일 또는 변경된 소스파일을 모두 확인
merge : 동기화 서버와 동일하게 자신의 PC 디렉토리 파일을 맞춤
*PC에서 해당 파일이 있고 서버에는 없을 경우 해당 파일을 자동 동기화하여 PC에 있는 파일을 삭제할 수 있음
-> 주의!!! fetch 사용후 merge하기
회사에서 지랄하면 좃댐
다운 : fetch > pull (건든사람의 허락을 받고 하기)
[단일 repository] - 단일 저장소
아이디 설정
git config user.name "koona-0"
이메일 설정
git config user.email nayoung9909@naver.com
[복합 repository] - 여러개의 저장소
아이디 설정
git config --global user.name "koona-0"
이메일 설정
git config --global user.email "nayoung9909@naver.com"
=> 복합 저장소 형태를 추천 (개인피씨일때)
오타발생시 기존 사용자정보를 삭제하고 다시 등록 삭제
git config --global --unset user.name "아이디"
git config --global --unset user.email "이메일"
[Git]
깃허브 회원가입
깃 설치
환경설정 및 IDE 연결
이클립스 깃 연동
[개인 프로젝트]
자신의 깃을 생성하여 IDE연결 개발
pull,push, fetch, merge
1. fetch 확인 > pull 소스 다운로드
2. push > 소스를 commit 적용 후 업로드
3. merge => branch끼리 복사하는 형태의 프로젝트일때
branch => main
branch => master 생성
main 소스 (switch) > master branch 복사(merge)
branch = 디렉토리
[팀 프로젝트]
1. Java,Tomcat(was), Database라이브러리
뭐쓸지 정하기
2. Main 담당자 (인덱서)
Git organizations : 팀명
팀원 초대
팀원 권한 설정 (write로 설정)
Base permissions, project base permissions
3. create new repasitory 저장소 생성
Project 이름 생성 (기본 main) (기본사용자 origin)
팀원들에게 URL 모두 공유 (Git주소)
팀원들은 파일 생성 및 확인 => 테스트 완료 후 삭제
4. Main 담당자가 Project 생성 (Git을 이용하여 생성)
create a git repasitory
=> 해당 디렉토리 Git 셋팅
new Project를 생성하여 셋팅
- 서버, 자바버전, 데이터베이스, 서버 라이브러리
web.xml 세팅 등등
Git 정보 Remotes 셋팅 => 테스트
- Push 셋팅
- Fetch 셋팅
Git Staging을 이용하여 셋팅 값을 모두 Push
5. 각각의 담당자
File > import > Git > Project from Git > Clone URI > 정보 모두 입력
했는데 파인더로 보이는데 STS에 안뜨면
임포트뭐시기 그레이들 누르면댐
6. Project 설정값을 모두 다운받음
7. 자신의 IDE에 Server 부분을 Tomcat 버전에 맞게 셋팅
8. Push, Fetch 우클릭 => configure Push
Ref Mapping 셋팅
푸시 패치 둘다 Force update 체크
[팀 프로젝트 연동시 주의사항]
1. package, class명이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버그 발생 -> 소통하기
2. web.xml 동일한 <servlet>이 발생 가능
3. Model 생성시 각 담당자별로 필요한 Model을 생성하며,
서로 다른 package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모델 생성시 public으로 생성하는것을 권장
[git 주의사항]
1. Merge!!!!! : Git => Merge(X) 내 거랑 깃헙 동기화~ 다 날라감 !!
원래 브랜치 쪼개고 나중에 병합할 때 쓰는 애~ 조심 !!
2. Git => fetch (소스 변경된 내용을 확인하고 싶은 경우)
3. Git pull (다운로드) : fetch 사용 굳이 필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