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 1

2025. 1. 1. 19:05·과제

1. HTML, HTM 차이점

둘은 서로 같은 형식의 파일

원래 명칭은 html이였으나 확장자로서 html대신 htm을 쓰는 이유는, 도스(MS-dos)와 Windows3.X 시절부터 확장자의 문자길이를 3글자로 제한했었기 때문에 당시엔 .htm이라고 썼었던 것이다.

그 영향에 따라서 현재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를 주로 풀로 쓰는 .html 를 주로 사용하지만, 예전 htm 의 관습과 호환성을 위해서라도 현재까지도 사용되고 있는 것 이다. 

따라서 정리하자면 실질적으로 둘 확장자는 (.htm .html) 기술적으로 차이가 없는 아예 동일한 (HTML) 포맷이라고 보면 된다.

 

htm : html보다 문서로딩이 빠르다

html : 리눅스환경에서 asp,php,jsp호환이잘된다.

//아예동일한파일인데 이건 뭐지?

2. WEB WAS 차이점

web container의 유무로 web과 was를 나눌수 있으며 web서버는 html문서같은 정적 컨텐츠를 처리하는 것이고(http프로토콜을 통해 읽힐 수 있는 문서)

was서버는 asp, php, jsp 등 개발 언어를 읽고 처리하여 동적 컨텐츠, 웹 응용 프로그램 서비스를 처리하는 것이다.

 

둘은 목적이 다르다.

웹 서버는 정적인 데이터를 처리하는 서버이다. 이미지나 단순 html파일과 같은 리소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웹서버를 통하면 was를 이용하는 것보다 빠르고 안정적이다.

was는 동적인 데이터를 처리하는 서버이다. db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거나 프로그램으로 데이터 조작이 필요한 경우에는 was를 활용해야 한다.

우리가 만드는 웹페이지는 정적 컨텐츠와 동적 컨텐츠를 함께 노출하게 한다. was가 정적 데이터를 처리하게 되면, 동적 컨텐츠의 처리가 지연이 될 것이고 이로 인한 페이지 노출시간이 늘어나게 된다. was는 동적 처리에 최적화 되어 있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처리 속도를 위해, 정적처리는 웹서버에서 처리를 하고, 동적 컨텐츠는 was에서 처리하게 된다.

 

사용자가 클라이언트에 요청을 하게 되면 이를 웹서버에서 반응하여 was의 처리를 거쳐 웹페이지로 다시 웹서버에서 클라이언트에 응답메시지를 주는것이다

3. API?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응용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 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를 뜻한다

API는 여러 프로그램들과 데이터베이스, 기능들의 상호 통신 방법을 규정하고 도와주는 매개체이다. API는 데이터베이스가 아니지만, 액세스 권한이 있는 앱의 권한 규정과 서비스 요청에 따라 데이터나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메신저 역할을 한다.

4. 반응형웹 모바일웹 구분해서 제작하는 이유는?

1. 반응형 웹 (Responsive Web)

    하나의 코드베이스로 다양한 디바이스 화면 크기에 자동으로 맞춰지는 웹 디자인

    HTML, CSS의 미디어 쿼리를 활용하여 화면 크기에 따라 레이아웃을 유동적으로 변경

2. 모바일 웹 (Mobile Web)

    모바일 전용으로 설계된 별도의 웹사이트. 주로 "m.도메인" 형태로 운영.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최적화된 성능과 디자인 제공.

 

기술적, 비즈니스적, 사용자 경험(UX) 측면에서 다양합니다.

효율성 vs. 최적화: 반응형 웹은 효율성을 중시하고, 모바일 웹은 특정 디바이스 최적화를 추구.

비즈니스 모델: 트래픽과 사용자 경험 목표에 따라 선택.

반응형 웹 예시: 콘텐츠 중심의 미디어 웹사이트(뉴스, 블로그 등)에서 다양한 디바이스 지원 필요.

모바일 웹 예시: 쇼핑몰, 예약 플랫폼 등 모바일 트래픽이 90% 이상인 서비스는 모바일 웹을 더 효율적으로 설계.

기술적 제약: 모바일 중심 비즈니스는 별도 웹 제작이 필수인 경우가 많음.

 

5. 동적 웹사이트와 정적 웹사이트는 각각 어떤것입니까?

정적 사이트는 고정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입니다.

예를 들어, 블로그 글이나 기사와 같은 콘텐츠가 고정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사이트는 웹 서버만으로도 충분히 운영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동적 사이트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콘텐츠가 동적으로 생성되는 웹사이트입니다.

예를 들어, 로그인 기능이 있는 커머스 사이트나 게시판과 같은 사이트가 동적 사이트의 예시입니다.

이러한 사이트는 데이터베이스 조회나 다양한 로직 처리를 필요로 합니다.

 

정적 사이트는 호스팅 비용이 적고 간단한 구성이 가능하며, CDN을 활용하여 빠른 콘텐츠 전송이 가능합니다.

동적 사이트는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정적 사이트는 간단하고 비용이 적은 콘텐츠를 제공하며, 동적 사이트는 상호작용성이 높고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6. DHTML, XHTML의 차이점

XHTML( Extensible HyperText Mark-up Language)

    HTML 이 좀 더  구조화된 형식. XML 1.0을 이용하여 HTML 4.01을 새로 만든 독립된 언어

    HTML보다 엄격한 문법을 가진다

    HTML이 SGML의 응용이라면, XHTML은 XML의 응용임

 

DHTML(Dynamic HTML; 동적 HTML)

    HTML, CSS, JAVASCRIPT를 조합하여 대화형 웹 사이트를 제작하는 기법

    경쟁 기술로는 플래시나 자바가 있음

 


DHTML XHTML
정의 HTML, CSS, JavaScript로 구성된 동적 웹 기술 조합 XML 규칙에 따라 정의된 HTML의 엄격한 확장판
목적 웹 페이지를 동적으로 변경하고 상호작용을 추가 구조적 일관성과 표준화된 문서 작성
표준성 특정 표준 없음(기술 조합) W3C 표준으로 규정
구성 요소 HTML + CSS + JavaScript + DOM HTML 구조를 XML 문법에 맞게 재정의
호환성 브라우저에 따라 동작이 달라질 수 있음 브라우저 간 호환성이 뛰어남
유연성 동적인 인터페이스 구현에 유리 정적인 문서 구조를 필요로 하는 경우 적합
엄격성 느슨한 문법 허용 엄격한 XML 문법 준수 필요
사용 사례 동적 웹 콘텐츠 (예: 애니메이션, 실시간 업데이트) 웹 표준 준수 필요 프로젝트, XML 기반 통합이 필요한 경우

 

 

 

 

 

 

 

 

 

 

 

 

 

 

 

 

 

 

 

'과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과제 3
  • 과제 2
9na0
9na0
응애
  • 9na0
    구나딩
    9na0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211)
      • Web (118)
      • Java (28)
      • 데이터베이스 (14)
      • 세팅 (12)
      • 과제 (3)
      • 쪽지시험 (2)
      • 정보처리기사 (4)
      • 서버 (25)
  • 블로그 메뉴

    • 링크

      • 포폴
      • 구깃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java_io1~10
      exam1_1~10
      datalist
      net5~10
      net3
      re2
      noticewriteok
      re_java10
      spring-boot
      io_dto
      net2
      notice_writer
      net4
      Oracle
      macbook pro m4
      file25
      file25_t
      ab1
      net1
      file24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9na0
    과제 1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