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부스에 이거 세개 추가 > 넥스트 >
완료하지말고 복사해서 따로 붙이기
그레이들 리프레시
프로퍼티스파일에 데이터베이스 정보 작성
프로퍼티스 파일에 JPA 세팅
#JPA
#콘솔에 SQL 쿼리 정보를 출력
spring.jpa.show-sql=true
#hibernate 통해서 JPA 엔티티와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동기화
#create : 프로세서를 시작할 때마다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삭제하는 역할 => 기존테이블 삭제후 생성 => 나중에는 update로 바꿔야함
#update : 변경된 내용을 확인 후 스키마를 업데이트함 => 기존테이블 삭제 안함
#validate :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의 일치 여부를 체크 및 오류 체크
#none :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의 자동수행을 하지 않음
spring.jpa.hibernate.ddl-auto=create
#jpa를 사용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선정
spring.jpa.database=mysql
#jpa에서 사용하고자하는 데이터베이스 드라이버
spring.jpa.database-platform=org.hibernate.dialect.MySQLDialect
#ddl문을 생성하여 DB적용함(DTO)
spring.jpa.generate-ddl=true
#sql 이뿌게 보여줌 줄바꿈해줌
spring.jpa.properties.hibernate.format_sql=true
#hibernate logging
#info 정보를 출력 (연결여부, 쿼리의 결과값)
logging.level.org.hibernate=info
#jpa에서 쿼리문 문제가 발생시 오류나는것만 체크
#logging.level.org.hibernate.SQL=debug
[서버]
로컬서버(ls) - 개개인의 PC에 환경을 세팅해서 개발 (잘 안씀)
개발서버(ds) - 개발자들이 개인 개발 환경에 맞게 통합된 환경으로 테스트
스테이징서버(ss) - 99%정도의 운영서버와 동일한 테스트 서버
운영서버(ps) - 실제 서비스가 제공되는 서버
나는 스테이징서버도 운영서버도 해봤다 => 실제 프로젝트 과정과 유사해서 면접관들이 좋아함
스테이징 서버 : 강의실뒤에 리눅스컴터서버
운영서버 : dcp a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