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실기] 파이썬

2025. 3. 30. 17:12·정보처리기사

1. 기초 

# 세미콜론 안써도됨
# 자료형은 알아서 설정됨 알고싶을때 type()사용
# 숫자시작x 언더바시작o
# 한줄 주석 샵, 여러줄주석 따옴표3개

# 집합 set : 순서 x
fruit_basket = {"orange", "banana", "grape"}
fruit_basket.add("kiwi")            #add 더하기 (같은 요소 더하면 변화없음 => 중복x)
fruit_basket.remove("banana")       #remove 빼기 
# print(fruit_basket)
more_fruits = ["apple","peach"]
fruit_basket.update(more_fruits)    #update 한번에 "여러개 더하기"
# print(fruit_basket)

# 문자열 분할 split() => 리스트
sentence = "Hello! I am cuty girl."
words = sentence.split()  # split(" ")와 동일
# print(words)  # ['Hello!', 'I', 'am', 'cuty', 'girl.']

# 문자열, 리스트 슬라이싱 [ : ]
messagge = "Hello! My name is nayeong"
numbers = [1, 2, 3, 4, 5]
# print(messagge[:5])      # Hello
# print(messagge[18:])     # nayeong
# print(numbers[1:3])      # [2, 3]

# 문자열 포멧팅 : %s 문자열 %d 숫자
name = "nayeong"
age = 27
# print("My name is %s. I'm %d years old." % (name, age))

# map(각요소에적용할함수,적용할데이터)
add_ten = map(lambda x: x + 10, numbers)    #lambda : 익명함수 (간단한 연산시 사용)
# print(list(add_ten))  # 출력 : [11,12,13,14,15]

# 입력
# x, y = input("x, y의 값을 공백으로 구분하여 입력 : ").split(" ")
# print("x의 값 : ", x)
# print("y의 값 : ", y)

# 반복문
a = 100
result = 0
for i in range(1,3):    # 1이상 3"미만" !
    result = a >> i
    result = result + 1
# print(result)

# 클래스
class good :    # good이라는 class 정의  
    li = ["seoul", "kyeonggi", "inchon", "daejeon", "daegu", "pusan"]
g = good()      # good 클래스의 인스턴스 g를 생성
str01 = ''      # 빈 문자열 
for i in g.li:  # 인스턴스 g의 li의 각 요소 i를 반복 
    str01 = str01 + i[0]    # i의 0번째를 더하기 
# print(str01)    # 출력 : skiddp (첫글자들이 모인 문자열 출력)

 

2. 문제

# 문제 10 : 중첩반복문
lol = [[1,2,3],[4,5],[6,7,8,9]]
for sub in lol:
    for item in sub:
        print(item, end='') # end='' : 줄바꿈x
    print()     # 줄바꿈 
    #출력 :  # 123
            # 45
            # 6789

# 문제 13
def fnCalculation(x, y):        # 함수 정의 
    result = 0;
    for i in range(len(x)):     # x의길이-1 만큼 반복문 실행 
        temp = x[i:i+len(y)]    # x[i+y길이] 를 temp에 저장 
        if temp == y:           # temp와 y가 같으면 result +1 
            result += 1;
    return result               # result 반환 
a = "abdcabcabca"
p1 = "ab";
p2 = "ca";
out = f"ab{fnCalculation(a,p1)}ca{fnCalculation(a,p2)}"
# f : 문자열 포메팅 
# {fnCalculation(a,p1)} : a 문자열에서 ab의 개수 => 3 
# {fnCalculation(a,p2)} : a 문자열에서 ca의 개수 => 3
print(out)      # ab3ca3

# 문제 14
# a, b = b, a : a와 b의 값 교환
def func(lst):
    for i in range(len(lst)//2):
        lst[i], lst[-i-1] = lst[-i-1], lst[i]
lst = [1, 2, 3, 4, 5, 6]
func(lst)       # 리스트 뒤집음 : lst = [6, 5, 4, 3, 2, 1]
print(sum(lst[::2]) - sum(lst[1::2]))
# sum(lst[::2]) : 6 + 4 + 2 = 12
# sum(lst[1::2]) : 5 + 3 + 1 = 9
# 출력 : 3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예외
  • 정보처리기사 실기
  • [정보처리기사 필기] 전공자 2주컷 공부법
9na0
9na0
응애
  • 9na0
    구나딩
    9na0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211)
      • Web (118)
      • Java (28)
      • 데이터베이스 (14)
      • 세팅 (12)
      • 과제 (3)
      • 쪽지시험 (2)
      • 정보처리기사 (4)
      • 서버 (25)
  • 블로그 메뉴

    • 링크

      • 포폴
      • 구깃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datalist
      Oracle
      net3
      exam1_1~10
      io_dto
      net4
      net2
      file25
      net1
      notice_writer
      noticewriteok
      re2
      file24
      ab1
      net5~10
      macbook pro m4
      re_java10
      spring-boot
      java_io1~10
      file25_t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9na0
    [정보처리기사 실기] 파이썬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